2013년 4월 5일 금요일

김상현 타격자세


오픈 스탠스였던 것도 뒷다리와 앞다리를 거의 일직선상으로 놓고 준비를 하는 스퀘어 스탠스로 바꾼 김상현은 니 리프팅 탑(knee liftting top= 들어올린 무릎이 정점에 이르기까지)이후 배트가 스타트하기 전까지(load) 뒷팔꿈치의 미동이 거의 없다.

물론 스트라이드시 앞발이 착지점에 이르렀을때 살짝 뒷팔꿈치가 뒤쪽으로 돌아나오는감은 있지만 이정도의 이동을 놓고 백스윙이 크다고 말할 정도는 아니다. 지난 김동주 선수 글에서도 이야기한바 있지만 Tip&Rip 즉, 다리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배트헤드는 투수쪽으로 향해(Tip)있다 이후 빠른 스윙(Rip)이 원활해질수 밖에 없는 스윙경로인데 이렇게 되면 당연히 테이크 백(Take-Back) 동작이 짧아져 빠른 스윙을 함에 있어 보다 유리해진다. 스윙의 도움닫기를 충분히 하고 있다는 뜻이다.

백스윙이 짧기에 다소 긴 스트라이드(한족장 반정도를 내딛는)를 하더라도 공을 마중나가서 치는 것이 아닌 미리 대기상태에서 스윙을 할수 있어 변화구 공략에 대한 시간적 대비책도 보다 유리해져 있다.
KIA로 이적한 이후 김상현은 영상에도 잘 나타나 있지만, 상체와 엉덩이의 회전(Torso rotation+hip rotation)력이 굉장히 리드미컬하며 뒤쪽에서 장전된 파워를 상체가 쏠리지 않으면서도 강력하게 회전력의 파워를 이어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파워히터답게 배트가 공을 만나는 지점(contact)이후 배트가 공을 뚫고 지나가는(bore) 스윙궤적을 가지고 있어, 피니쉬에서 강력한 손목롤링(rolling)까지 더하며 원래 자신의 장점이었던 `손목힘'을 이제는 제대로 사용하게 된 김상현이다. 이렇게 바뀐 스윙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홈런이 안나온다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일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